첨단 기술 접목해 효율적 재난 대응 마련
실영상 학습데이터 플랫폼 구축 본격화
재난안전데이터 공유 활성화로 공공·민간 협력 확대
행정안전부는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 기후 변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재난의 규모와 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과 데이터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안전부는 △AI 기반 관제 체계를 위한 ‘실영상 학습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 이용 활성화 △어린이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어린이 안전신문고’ 시범 운영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지방자치단체 CCTV에 AI 기술을 접목하여 관제 효율성을 높이고 영상 활용성을 확장한다.
현재까지 CCTV 관제는 주로 요원의 육안 판독에 의존해왔으며, 이로 인해 신속한 사고 탐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AI 기술을 CCTV 영상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며, ‘AI 기반 지자체 CCTV 관제시스템’을 2025년부터 202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 분야에서 활용할 AI 모델 개발과 실증을 위한 CCTV 실영상 학습데이터 활용 기반을 조성한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CCTV 영상을 수집하고,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거쳐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계획이다.
생성된 학습데이터는 학계와 기업 등 민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특정 재난 유형에 대한 분석 알고리즘(예: 침수탐지 AI 모델)을 개발하고, 데이터 증강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데이터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한편, 실시간 CCTV 영상과 연계한 위험도 예측 알고리즘도 마련할 계획이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현장에서의 재난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www.safetydata.go.kr) 이용 활성화를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이 플랫폼을 통해 재난관리책임기관이 생산하는 57종 재난 유형의 데이터를 공공 및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왔다.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는 2023년 4월 강릉 산불 상황 실시간 공유와 2024년 7월 통합대피소 위치현황 제공 등이 있다.
올해부터는 데이터 수집·연계·공유 체계 구축을 넘어, 실질적인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 예를 들어, 도시 폭염 관리를 위한 온도 저감 시설·장비 설치 및 예산 우선순위 설정을 지원하는 표준 분석 모델을 개발하여 지자체에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굴착기 실시간 위치정보와 지하차도 침수 감지 센싱정보 등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데이터를 단계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재난안전데이터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관련 협회, 연구기관, 대학과 연계하여 창업 지원 및 대학생·창업자 대상 공모전을 확대한다. 동시에, 재난안전데이터를 활용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제공하고, 안전산업박람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등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참고(출처) : 최윤서, 행정안전부, AI 기반 재난관리 체계 구축 추진, 내일일보, 2025-02-12 00:00:00